원·달러 환율이 다시 1,400원대에 진입하였습니다. 더 하락할 것으로 기대한 분들이 많으셨을 텐데 환율의 상승 배경을 분석하고 대비하셔야겠습니다.
5월 13일 기준, 원·달러 환율은 1,412.20원으로 어제 5시 이후에 1,427원에 최고점을 찍은 후 큰 변동 없이 마감했습니다. 최근 일주일간 환율은 빠르게 1,400원대를 회복하며 상승세를 보였는데요. 이는 트럼프 대통령과 시진핑 주석이 90일간 관세 인상 유예에 전격 합의한 영향이 직접적으로 반영된 결과입니다.
💼 미국-중국 관세 인하 합의 내용
- 미국: 중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145% → 30% 인하
- 중국: 미국산 제품에 대한 관세 125% → 10% 인하
- 적용 기간: 2025년 5월 14일부터 90일간
이번 조치로 글로벌 무역 긴장 완화 기대감이 커지면서 안전자산인 달러 수요가 급증했습니다.
📊 원·달러 환율 시세 정보 (5월 13일 오전 9시 12분 기준)
- 현찰 살 때: 1,436.91원
- 현찰 팔 때: 1,387.49원
- 송금 보낼 때: 1,426.00원
- 송금 받을 때: 1,398.40원
📅 최근 원·달러 환율 동향
5월 초 급격히 하락했던 환율은 트럼프-시진핑 회담 이후 다시 급반등하는 모습을 보였습니다.
코인베이스 한국인 가입 방법 (바로가기)
5월 12일 어제, 장중 환율은 최저 1,392.3원까지 떨어졌지만, 곧바로 1,427원까지 치솟으며 하루 만에 약 35원 가까이 오르는 급등세를 기록했습니다.
📌 원·달러 환율 상승 배경 요약
- 미국 경제의 탄탄한 경기지표와 연준의 금리 인하 보류
- 글로벌 투자자들의 안전자산 선호 심리 확대
- 한국 경제 성장 둔화 및 외국인 자금 유출 우려
지난 주의 원 달러환율은 2025년에 들어 가장 낮은 수준이었습니다. 환전을 하셨나요?
2025.05.07-원 달러환율 드디어 하락, 그 원인과 앞으로의 전망은?
원 달러환율이 1,400원 아래로 떨어져 더 떨어지기 전에 환전을 해야할 지 고민이었는데 우선 달러 환전은 미루려고 합니다. 환율변동에 따른 환전 전략을 마련하셔야할텐데요.
원 달러환율 향후 전망 및 전략
향후 환율은 미국과 중국 간 무역 협상 결과, 미국 소비자물가지수(CPI) 발표, 한국은행의 금리 결정 등 주요 경제 이벤트에 따라 추가 변동성이 예상됩니다. 해외 송금이나 저처럼 환전 계획이 있다면, 환율 흐름에 주의 깊게 대응하는 전략이 필요합니다.
'환율' 카테고리의 다른 글
오늘의 달러환율 2025년 5월 14일 (2) | 2025.05.14 |
---|---|
5월 13일 원/유로 환율 & 유로/달러 환율 (4) | 2025.05.13 |
일본 엔화환율 960원, 다시 1000원 미만인 엔화 환전 전략은? (0) | 2025.05.12 |
달러환율 주말과 월요일 달러환율 (2) | 2025.05.12 |
5월 유로환율 주말 동향 분석: 환율 변동성과 향후 전망 (0) | 2025.05.11 |